본문 바로가기
인체과학

"몸을 통한 마음 치유, 소매틱 테라피가 PTSD와 불안에 효과적"

by HI-GENIE 2024. 11. 5.

트라우마의 영향은 몸에 나타난다. '기억이 없어도 몸이 기억할 수도 있습니다.'라고 전문가는 얘기한다.

최근 더 많은 사람이 정신건강에 대해 도움을 요청하고 있으며, 다양한 치료법을 모색하고 있다.

상황이 크게 바뀌면서 몸과 마음을 연결해 회복을 촉진하는 소매틱 테라피가 기존의 토크 테라피(심리요법)에 막혀 허전함을 느끼는 사람들 사이에서 유망한 치료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미국 솔트레이크시티에 거주하는 제이휴즈 씨도 기존 치료법을 8년간 받은 끝에 다른 갈림에 섰다.

현재 인생으로 눈을 돌려, 본인 삶을 좀 더 통제할 수 있게 되고 싶었다.

새로운 길을 모색한 결과 소매틱 테라피에 이르렀다. "내 몸을 통해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지에 대한 로드맵을 그릴 수 있었습니다"라고 휴즈 씨는 말한다.


하지만 소매틱 테라피란 도대체 무엇이며 어떤 효과가 있는 것일까?

여기서는 이러한 정신 건강에 대한 혁신적인 접근법에 대해 알아두어야 할 것과 몸을 마음의 행복 문턱으로 쓰는 것에 대한 관심 증가에 대해 알아두어야 할 것들을 소개한다.

 

소매틱 테라피란?

소매틱이란 '신체의'라는 뜻이다.

인지기능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의 토크 테라피와 달리 소매틱 테라피에서는 감정과 체험을 저장하는 몸의 역할을 중시한다.
자기 자신에 대해 갖고 있는 부정적인 신념은 몸과 공명하고 있다.

"거기서 부정적인 신념이 몸의 어느 부위에 공명하고 있는지를 밝혀 그것을 내려놓기 위한 공간을 만듭니다."라고 트라우마 치료의 훈련으로 인정을 받은 심리치료사 셰이 듀부아씨는 설명한다.

소매틱 테라피는 20세기 초 심리학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윌헬름 라이히 같은 선구자들이 몸의 긴장이나 근육의 움직임이 심리상태와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를 살폈다.

라이히의 몸의 갑옷 개념은 억압된 감정은 몸에 나타나므로 이 신체적인 증상에 대처하는 것이 마음의 치유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누군가의 사고 패턴이나 행동을 그저 바꾸려고 하는 것은 확실히 유익하지만,

그것들이 저장된 장소에 변화는 일어나지 않습니다"라고 심리치료사 스콧 라이온스 씨는 말한다.

그는 소매틱 테라피 훈련을 제공하는 플랫폼 엠바디랩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그는 트라우마를 하늘에서 집으로 떨어진 큰 돌에 비유한다.

"그 돌에 대한 생각을 바꾸거나 돌이 있는 방을 피할 수는 있지만, 돌은 아직 거기에 있습니다"라고 그는 말한다. "반면 우리는 실제로 그 돌을 녹여서 분해해 버립니다"
인지 행동요법(CBT)만큼 폭넓게 연구되는 것은 아니지만 소매틱 테라피는 특히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나 불안 증상을 가진 사람에게 유망한 결과가 나오고 있다.
2015년에 출판된 베셀·반·데어·코크씨의 저서 [신체는 트라우마를 기록하는 뇌·마음·몸의 연결과 회복을 위한 수법]이 트라우마를 어떻게 생각해, 어떻게 치유할지에 대한 깨달음을 사람들에게 가져왔다.
이전까지 정신건강에 대해서는 몸에 대한 트라우마의 영향을 과소평가하거나 부정하는 사회의 의식이 있었지만,

이 책은 그러한 의식이 잘못됐다고 생각하는 많은 사람에게 확증을 주었다.
소매틱 테라피가 최근 더욱 주목을 받는 것은 소셜미디어 덕분이기도 하다. 콘텐츠 창작자와 치료사가 소매틱 테라피의 인지도를 높이고 수백만 명에게 가르침을 주고 있는 것이다.

심리적 치료의 인기는 그 어느 때보다 높아졌으며, 미국 심리학회 조사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트라우마나 스트레스 관련 부진 치료에 대한 수요가 2020년부터 2021년까지 58% 늘었다.
트라우마란 깊은 고통을 동반하는 체험을 말하며, 개인이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압도하고 심신에 지속적인 영향을 남긴다. 일회성 또는 일련의 사건, 또는 지속적인 스트레스가 원인이 된다.

그러나 트라우마는 강간이나 근친으로부터의 성폭력 등 중대한 체험에만 관련되는 것은 아니다.

애착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아기 때 어떻게 다뤄졌는지도 트라우마로 이어질 수 있다.
트라우마가 몸에 나타난다는 개념이 오랫동안 오해돼 온 것은 그 영향이 바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전통적으로는 정신의 증상만 주목받고 트라우마가 미묘한 형태로 몸에 축적되는 것은 간과되기 십상이었다.
"인생 초기에 일어나 기억이 없어도 몸이 기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라고 듀보아 씨는 말한다.

 

소매틱 테라피는 어떻게 진행 되나?
라이온스씨에 의하면 소매틱 테라피스트는 여러 가지 수법을 사용하지만, 기본은 몸에 의식을 돌리는 것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경우, 세션은 현상의 체크로부터 시작된다. 듀보어 씨는 이용자에게 "몸의 어디에 불안을 느끼고 있습니까? 질감이 있습니까? 색깔이 있습니까? 무게는 있습니까?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등을 물었다. 대화를 최소화하고 이용자가 자신의 감정과 마주하는 시간을 갖기도 한다.
라이온스씨에 의하면, 이 몸에 대한 깨달음은 지극히 중요하다고 한다.

많은 사람은 신체적인 자아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수일에서 수주일, 수개월의 시간이 걸릴 수도 있다고 한다.
이용자의 준비가 되면, 테라피스트는 '펜듀레이션' 등의 수법을 이용한다. 펜듈레이션은 펜듈럼에서 유래해 여러 상태를 넘나들며 압도적인 감정을 관리하는 기법이다.

예를 들어 라이온스 씨는 클라이언트가 어떤 기억에 대해 강하게 몸의 반응을 보일 경우 여기서 일시 정지합시다.

"자신에게 있어서 기분 좋은 것에 집중하거나, 제 목소리에 집중하세요"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스트레스를 느끼는 기억과 편안한 시간을 오간다.
몸을 이용한 치료의 원칙은 안전성이다. 불쾌감에 노출돼 익숙해지도록 독려하는 인지 행동요법과 달리 소매틱 테라피에서는 클라이언트가 페이스와 강도를 조절한다. 그는 자신이 세션을 받았을 때 턱과 손이 떨렸던 경험을 되새긴다.
"강렬한 감정이 들끓어요. 반드시 좋은 의미는 아닙니다."라고 듀보아씨는 말한다. "다만 언제든지 '이제 그만하자'고 말할 수 있었습니다"


소매틱 테라피는 회복에 대한 전체론적한 접근이며,

토크 테라피로 잘 안 된 사람에게 유익할 수도 있고, 과거의 트라우마에서 삶을 되찾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